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안드로이드 개발자모드 활성화 방법

안드로이드 개발자 옵션 기능 (비)활성화 하는 방법을 소개드립니다.


안드로이드 기종의 스마트폰에서는 설정에 들어가보면 개발자 옵션이 있는데요.

안드로이드 스튜디로를 통한 개발 앱 배표, 스마트폰을 설정 및 테스트를 하기 위한 기능이지만 개발자 분들 뿐만 아니라 일반유 저 분들도 스마트폰의 설정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사용하게 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는 스마트폰 초기 설정에서 개발자 옵션이 숨겨져 있는데요.

설정에 들어가도 보이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활성화를 시켜야지 메뉴가 생기게 됩니다.

그럼 바로 안드로이드 개발자 옵션 (비)활성화 방법을 소개 시켜드릴게요.

 

안드로이드 개발자 옵션 활성화, 비활성화

※스마트폰 실행후에 톱니바퀴 아이콘을 눌러서 설정으로 들어가줍니다. 

※설정에서 제일 하단에 있는 개발자 옵션으로 들어갈 수가 있는데요. 

  활성화를 하지 않은 상태라면 휴대전화 정보가 맨 하단에 있습니다. 

  휴대전화 정보를 터치를 해줍니다.

휴대전화 정보

                 [아직 안드로이드 개발자 옵션이 비활성화된 상태입니다.]

※ 휴대전화 정보에서는 아래의 소프트웨어 정보 메뉴를 선택해줍니다.

소프트웨어 정보

※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소프트웨어 정보 페이지가 나오게 되는데요.

   그중에서 빌드번호를 눌러서 개발자 옵션을 활성화 시킬 수가 있습니다. 

   연속으로 눌러줘야되는데요.

빌드번호 연속 터치

    손가락으로 연타해서 누르게 되면 개발 설정완료 4단계 전입니다. 3단계 전입니다.

   2단계 전입니다. 1단계 전입니다.라고 나오게 되고요.

개발 설정 완료 4단계 전입니다.

 

※ 마지막에 “개발자 모드를 켰습니다.”가 나오면 활성화가 완료 된 것입니다.

안드로이드 개발자 모드 활성화

 

※ 이제 설정으로 들어가주시면 휴대전화 정보 밑에 개발자 옵션 메뉴가 생긴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개발자 옵션 생김

 

※ 비활성화 하는 방법은 간단한데요. 

  개발자 옵션으로 들어가주신 이후에 사용 버튼을 눌러서 사용안함으로 변경해주시면 비활성화 되서 설정에서 메뉴가 없어지게 됩니다.

개발자 옵션 비활성화

 ※ 개발용 컴퓨터와 USB 케이블로 연결하셨다면, 개발자 옵션 중간의 "USB 디버깅"을 활성화 해주셔야 합니다.

 ※ 안드로이드 개발자 옵션를 통해 다양한 테스트와 확장된 기능을 이용해 보세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Visual Studio Xamarin 프로젝트에서 Google Play Services 광고 SDK를 사용하는 방법

1. NuGet 패키지 설치 (패키지 관리자 콘솔 이용)      Install-Package Xamarin.GooglePlayServices.Ads 2.  Google Play Services 추가     - 프로젝트의 Android 프로젝트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Google Play 서비스 추가" 선택     - "광고" 카테고리에서 "광고"를 선택하고 확인 버튼 클릭   3. Android 매니페스트 업데이트     - Android 프로젝트의 Properties 폴더에서 AndroidManifest.xml 파일 선택     - manifest 요소에 다음 사용 권한 추가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INTERNET" />     - application 요소 내에 다음 <meta-data> 요소를 추가       <meta-data          android:name="com.google.android.gms.ads.APPLICATION_ID"          android:value="현재 앱의 AdMob ID" /> 4. 레이아웃 파일에 광고 뷰 추가     - 광고를 추가할 레이아웃 파일 (예: activity_main.axml)을 오픈     - AdView를 추가하기 위해 원하는 위치에 <com.google.android.gms.ads.AdView> 요소 추가  <com.google.android.gms.ads.AdView     android:id="@+id/adView" ...

안드로이드용 무료 나스모 공개

■ 구글 플레이 스크린골프 가시면 스윙후에 자기 스윙모습을 보여주는 나스모 아시죠? 그 나스모를 내 핸드폰으로 옮겨놓은 무료 프로그램 입니다. "매직미러"에 대해 알아보세요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konestop.magicmirror ** 이제 출시된 앱이라 구글플레이에서 "매직미러" (쌍따옴표안에 넣어 검색) 하면 바로 나옵니다. ** 아래 QR 스캔하시면 구글플레이 바로 갑니다. ■ 앱 설명 스크린골프 가시면 스윙후에 자기 스윙모습을 보여주는 나스모 아시죠? 그 나스모를 내 핸드폰으로 옮겨놓은 무료 프로그램 입니다. 골프에 진심인데 10년째 백돌이인 개발자가 직접 만든 앱입니다. 이제 휴대폰카메라로 녹화 없이도 끊임없이 자기 스윙모습을 타임머신처럼 계속 보여줍니다. 설명이 더 힘든 앱이네요. 직접 써보세요 ■ 앱 기능   - 설치후 처음 시작하는 튜토디얼을 참고하세요.

BLE Sniffer 방법

TESTO사의   BLE기반 온도계를 KISOK(윈도 OS)에 연결하여야 할 프로젝트를 진행한 후기입니다. 단계별로 관련 내용과 C#  소스 코드 공개합니다. 스니핑툴로 nRF52832 DK를 사용하기로 하고 Wireshark을 통해 패킷분석 진행후  C#으로 윈도용 프로그램을 개발한 내용입니다. 링크를 통해 노르딕 인포센터에 접속하면  nRF Sniffer 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1. nRF Sniffer를 사용해 블루투스 패킷을 확인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인   Wireshark 를 다운로드 2. Windows Installer (64-bit, *OS따라 선택 필요)를 선택해 설치 과정 중 따로 변경하지 않고 기본 설정으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3. nRF52 DK를 Packet sniffer로 만들어주기 위한 nRF Sniffer 소프트웨어를 사이트에 접속해 다운로드     (bluetooth le 버전중 최신 버전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doc 폴더에는 nRF Sniffer 사용 방법에 대한 문서가 들어 있다. 4. 다운로드한  ZIP파일을 압축해제하한 extcap 폴더에는 nRF Sniffer를 사용하기 위한 파이썬 코드가 들어있습니다.     hex 폴더에는 nRF Sniffer 펌웨어인 hex 파일이 들어있습니다.    Profile_nRF_Sniffer_Bluetooth_LE 폴더에는 Whireshark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파일 설정이 들어있습니다. Development kit/ dongle Firmware file name nRF52840 DK (PCA10056) sniffer_nrf52840dk_nrf52840_*.hex nRF52840 Dongle (PCA10059) sniffer_nrf52840dongle_nrf52840_*.hex nRF52 DK (PCA10040) sniffer_nrf52dk_nrf...